Skip Menu

글로벌 대중음악의 인재양성

개설과목 소개

전공실기(Ⅰ~ Ⅵ) (Private Study)

개인 레슨에 의한 전문적 실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과목

 

앙상블 (기본,응용) (Ensemble)

고급앙상블 (기본,응용) (Advanced Music Ensemble)

대중음악에서 배운 모든 이론 실기를 합주에 적용시키고, 각종 악기에 셋팅 방법 상호연주자 간의 예의를 익히고, 무대와 관객 간에 상호 관계를 익힌다. 실용합주, 보컬활용, MIDI로 다음과 같이 3개의 클래스로 나누어 수업한다.

앙상블 (실용합주)

Jazz 음악의 다양한 표현법과 Improvisation 능력을 합주를 통해 익힘으로 자신만의 연주능력을 연마하는 과목.

앙상블 (MIDI)

보컬, 기악 전공자들은 자신의 음악세상을 더욱 더 잘 표현하기 위해 작곡, 편곡 능력이 필요하다. 디지털 음악 프로그램인 Logic을 기본으로 하여 가상악기를 이용한 미디시퀀싱 및 믹싱, 마스터링을 공부한다.


라이브 워크샵 (기본,응용) (Live Workshop)

고급 라이브워크샵 (기본,응용) (Advanced Live Workshop)

실제적인 무대경험을 통하여 연주자로서의 무대매너와 연주자세, 연주력을 향상시킨다. 실용합주, 보컬(앙상블), CCM, 뮤지컬, 작곡, K-pop보컬, K-pop댄스로 다음과 같이 7개의 클래스로 나누어 실습한다.

라이브워크샵 (실용합주)

다양한 음악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연주자가 갖추어야 할 연주력을 여러 장르의 음악을 실습함으로써 연주력의 응용 및 향상과 더불어 연주 현장에서 최대의 연주능력을 펼칠 수 있게 하기 위함이 수업의 목적을 두며, 또한 연주자 간의 의견 조율 방법과 의사 소통법을 익혀 원만한 인격 소유의 연주자 인성 향상에 목적을 둔다.

라이브워크샵 (K-Pop보컬)

기획사 오디션(JYP, YG, SM, 큐브 등), 방송국 오디션 프로그램(슈퍼스타K, 보이스코리아, K-Pop스타), 기타 음악 방송(히든싱어)등에 지원하여 합격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 한다.

 

시창 · 청음 (Ⅰ~Ⅱ) (Sight Singing ·Ear Training)

음정 · 리듬 · 화성 등을 객관적으로 판단, 실현시키는 것으로부터 음악, 예술적 감지와 실현의 능력을 키워 음악의 연주와 창작의 기초를 이루게 하는 학습.

클래스피아노 (기본,응용) (Class Piano)

피아노 기초 연주를 위한 개인 혹은 그룹레슨을 함으로써 독보, 리듬. 프레이징, 화음감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각적인 피아노 교수방법을 익힌다.

컴퓨터음악 (기본,응용) (Computer Music)

Midi를 이용해 작, 편곡 및 연주의 기능을 습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음악적 소프트웨어의 숙달과 제작과정에 필요한 이론 및 실기를 훈련한다.

실용음악이론과실습 (기본,응용) (Theory of Music)

서양음악의 이해와 학습에 기본적인 요소가 되는 음악의 기본방법, 음악적인 여러 제도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여 기초적인 어법을 이해한다.

음향기초(Basic Music Acoustics), 무대음향(Stage Acoustics)

PA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문화 퍼포먼스 현장에서 필요한 음향 관련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과목이다.

송라이팅 (기본,응용) (Songwriting Class)

기타나 건반악기를 중심으로 자신의 악기연주, 반주와 함께 노래곡을 창작하고 표현하는 기능을 배양시키는 과목

AI기반실용음악편곡법 (Ⅰ~Ⅱ) (AI-Based Practical Music Arrangement Techniques Applied Music Arrangement Techniques)

AI 기반 실용음악 편곡 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음악을 제작하고 편곡할 수 있다.

기초발성법(Basic Vocalization), 보컬기법(Vocal Technic)

다양한 발성법 실습을 통해 보컬 연주기능을 향상시킨다.

월드뮤직 (기본,응용) (World Music)

현대의 실용음악 분야는 미국의 음악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왔으나 근래에 들어 세계 각국의 음악스타일들이 퓨전, 크로스오버라는 이름으로 서로 융합,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월드뮤직의 경향을 익혀 작곡과 연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이다.


멀티미디어뮤직 (Ⅰ~Ⅱ) (Multimedia Music)

믹싱테크닉, 사운드를 재합성기술, 커스텀 이펙트 등을 만드는 방법 등을 연구하고, 이 기술들을 이용해 게임영상과 음악, 사운드디자인, 다이얼로그 등을 동기화시켜 완성할 수 있는 과목. 영화음악, 광고음악, 게임음악으로 다음과 같이 클래스를 나누어 실습한다.

멀티미디어뮤직 (영화음악)

오케스트라 사용 시 각 악기별 특성을 익히고 영상을 분석하여 가상악기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킨다. 장르별 영상을 분석 후 작곡 또는 편곡 능력을 기르고 영상에 맞는 음악을 만들어 본다. 영상을 편집하여 영상에 맞게 작곡 및 SFX를 가미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멀티미디어뮤직 (광고음악)

실제 광고음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교육하고 광고인들의 회의를 가상으로 경험하여 B.G와 음원에 대해 논의, 실무경험을 체험해본다. 광고카피를 만들어보고 직접 송과 멘트, 송트를 녹음해보며 실무경험을 해보고 학생들 스스로가 직접 제작한 영상물에 광고음악을 만들어 보고 실습한다.

멀티미디어뮤직 (게임음악)

게임음악은 사운드 디자이너 혹은 작곡가와 같은 음악 관련 전문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믹싱테크닉, 사운드를 재합성기술, 커스텀 이펙트 등을 만드는 방법 등을 관련과목과 함께 연구하고, 최종적으로 위의 기술들을 이용해 게임음악, 사운드디자인, 다이얼로그 등을 동기화시켜 완성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악프로듀싱 (Music Production for Biginners: Intermediate),(Advanced Music Production)

졸업앨범 제작을 기본 목표로, 기초부터 중급 고급까지 학생 개개인이 음반프로듀서로써 홈레코딩을 이용한 음반 제작 및 유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뮤직비디오제작 (Ⅰ~Ⅱ) (Music Video Production)

자신의 자작곡을 활용하여 음반 발매를 목표로 뮤직비디오를 기획, 연출, 촬영, 편집하는 전 과정을 이해하고 직접 제작할 수 있다.

K-pop 댄스 (K-pop Dance)

졸현재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K-Pop'에 맞춰 구성된 춤, 즉 'K-Pop댄스'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습을 통해 'K-Pop댄스'를 익혀보고 연습하여, 오디션 준비 혹은 무대 위에서의 다양한 퍼포먼스를 구사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컨템포러리재즈 (Contemporary Jazz)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의 특징을 분석 하고, 한국의 대중음악을 현대적인 재즈, 대중적인 재즈로 편곡하고, 합주를 통해 퓨전 스타일의 연주력을 향상시킨다.

음악콘텐츠관리(Management of Music & Lyrical Content: Basic, Practice)

완성된 음악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고 유통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캡스톤디자인공연제작 (Capstone Design Performance Production)

보다 완성도 높고 세분화된 교육을 통해 졸업 후 음악현장에서 원하는 다양한 스타일의 뮤지션을 양성하는 수업.

현장실습 (On-the-Job Training)

음악관련 산업체에서 실무를 익히고 실습에 적용시키는 훈련을 하는 과목이다.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4주 160시간을 이수한 후 학점인정을 받는다.

  • 최종수정일 2025.04.30